무상증자 4

무상증자란? 권리락이란? ( 경제 )

주식을 하다보면 무상증자를 한다는 공시 내용을 접하게 됩니다. 무상증자시에 권리락이라는 용어도 함께 알아야하기에 같이 작성해 봅니다.무상증자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무상증자는 무엇인가요?기업이 새로 발행한 주식을 돈을 받지 않고,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을 "무상증자"라고 합니다.시가총액(회사의 가치)은 변화가 없습니다.주식 수가 늘어 납니다.권리락일에는 늘어난 주식 수 만큼 주가가 하향 조정됩니다.무상증자하는 경우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무상증자를 하는 경우 주식 주가 얼마나 늘어나는지가 핵심 입니다.무상증자에 참여 가능한 날짜, 무상증자를 통해 늘어난 주식이 처음 거래되는 날짜인 "상장 예정일"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권리락은 무엇인가요?권리락이란 권리가 없어졌다는 뜻 입니다.권리락을 기준으로 무상..

경제용어 06:32:16

공모주 청약과정 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공모주도 빼 놓을수 없는 투자부분 중에 하나 입니다.공모주 청약시에 공모주 청약 과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목차~ D-1 일 > 공모가액 확정D-day > 공모주 청약D+2 ~ 3일 > 배정, 납입 및 환불D+1 ~ 2주 > 상장 ~D-1 일 > 공모가액 확정~ D-1일은 공모가액을 확정합니다.공모가액이란 1주당 청약가격을 말합니다.D-day > 공모주 청약공모주 청약을 합니다.일반투자자와 기관투자자 및 우리사주 별도 규정에 따라 진행 됩니다. 일반투자자 청약 입니다.일반투자자의 경우 청약대금(청약수량 X 공모가액)의 50%를 청약신청과 동시에 증거금으로 납입 합니다.보통 공모가액의 50%, 청약한 수량만큼 증거금이 필요합니다.D+2 ~ 3일 > 배정, 납입 및 환불공모주의 배정과 납입 및..

경제용어 2024.05.30

공모주 청약이 처음인 경우 알고 있어야 할 내용 ! (공모주)

공모주 청약시에 꼭 알아두셔야 할 내용에 대해 작성해 봅니다.공모주는 청약한도 이내에서만 청약이 가능합니다. 각 증권사별 고객별 우대조건에 따라 청약한도가 결정되기도 합니다.청약단위에 맞추어 청약이 가능합니다. (예 : 50주 단위, 100주 단위 등)균등배정은 총 청약인원에 대해 1/N로 배정하는 방식입니다. ( 청약수량과 관계없이 동일 수량 배정 됩니다. )비례배정은 고객별 청약수량을 청약 경쟁률에 비례하여 배정하는 방식입니다. ( 많이 청약할수록 유리 합니다.)투자설명서를 참고하여 사업현황, 재무상태 등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신 후 청약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장 이후 주가가 하락할 경우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주식분할(거래정지 기간)? 주식분할 (거래정지 기간)? ★..

경제용어 2024.05.30

교환사채(EB)란 ? (경제)

주식을 하다보면 교환사채(EB) 공시를 확인하곤 합니다.교환사채(EB)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기업은 자금이 부족할 때 투자자들에게 돈을 빌리고 채권을 발행합니다." 교환사채(EB) "는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채권입니다.전환사채 투자자가 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합니다.교환사채(EB) 투자자가 사채를 주식으로 교환하면 자사주 또는 타사주로 주기 때문에, 교환 후에 총 주식수는 변함이 없습니다.교환사채(EB)는 대부분 사모로 발행됩니다.어떤 주식으로 교환해주는지, 자금을 조달하는 목적은 무엇인지가 핵심입니다.주식분할( 거래정지 기간 )이란 ? 주식분할 (거래정지 기간)? ★ (경제)주식을 하다보면 "주식분할" 공시를 확인하고는 합니다.주식분할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경제용어 2024.05.20